성균관대 강승구 교수, 아임뉴런 부사장 및 Scientific Faculty로 부임

성균관대 강승구 교수, 아임뉴런 부사장 및 Scientific Faculty로 부임

성균관대 강승구 교수, 아임뉴런 부사장 및 Scientific Faculty로 부임

2025년 4월 1일

2025년 4월 1일


아임뉴런은 2025년 4월, 성균관대학교 나노종합기술원(SAINT) 및 나노공학과 강승구 교수를 부사장 및 Scientific Faculty로 부임시켰다고 발표했다.

강승구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SAINT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성바이오와 물리 기반 전산 생물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마친 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Jeffery G. Saven 교수의 지도 아래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IBM Thomas J. Watson 연구소의 Computational Biology Center에서 13년간 근무하며 비정형 아미노산을 활용한 단백질 설계와 알고리즘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이끌어냈다.

아임뉴런은 TRANSMAB® 기반의 차세대 뇌혈관장벽(BBB) 투과 기술과 혁신적 항체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강 교수의 부임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arvard, MGH, MIT Ragon Institute, Cleveland Clinic 등 세계 유수 기관과의 공동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강 교수의 부임은 국내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아임뉴런은 2025년 4월, 성균관대학교 나노종합기술원(SAINT) 및 나노공학과 강승구 교수를 부사장 및 Scientific Faculty로 부임시켰다고 발표했다.

강승구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SAINT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성바이오와 물리 기반 전산 생물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마친 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Jeffery G. Saven 교수의 지도 아래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IBM Thomas J. Watson 연구소의 Computational Biology Center에서 13년간 근무하며 비정형 아미노산을 활용한 단백질 설계와 알고리즘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이끌어냈다.

아임뉴런은 TRANSMAB® 기반의 차세대 뇌혈관장벽(BBB) 투과 기술과 혁신적 항체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강 교수의 부임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arvard, MGH, MIT Ragon Institute, Cleveland Clinic 등 세계 유수 기관과의 공동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강 교수의 부임은 국내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NEW RUN

NEW VENTURE™

Every breakthrough, a new beginning

경기도 수원시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N센터 A동 5층​

+82-31-278-7064

© IMNEWRUN INC.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N센터 A동 5층​

+82-31-278-7064

© IMNEWRUN INC. ALL RIGHTS RESERVED

NEW RUN

NEW VENTURE™

Every breakthrough, a new beginning

NEW RUN

NEW VENTURE™

Every breakthrough, a new beginning

경기도 수원시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N센터 A동 5층​

+82-31-278-7064

© IMNEWRUN INC. ALL RIGHTS RESERVED